|
언해본
2.1. 월인석보본
2.2. 박승빈 구장본
2.3. 일본 궁내성본
4) 훈민정음 언해본의 실태와 복원의 노력
4.1. 훈민정음 언해본의 실태
4.2. 훈민정음 언해본 복원의 노력
3. 맺음말
|
- 페이지 4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7.1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3. 일본 궁내성본
4) 훈민정음 언해본의 실태와 복원의 노력
4.1. 훈민정음 언해본의 실태
4.2. 훈민정음 언해본 복원의 노력
3. 맺음말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7.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본 궁내성 도서
료에 있는 사본인 <궁내성본>, 가나자와 쇼사부로[金澤庄三郞]가 간수하고 있는 사본인 <
가나자와본>이 있다.
【글자로서의 훈민정음】 앞에서 기술한 훈민정음 체계는 당시 국어의 전면적 표기를 위하
여 마련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본개입
1894년 7월 23일 일본군이 궁내에 진입하고 조선군 각 군영의 무기를 회수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일본군의 목적은 대원군의 섭정이었다. 이 사건에 대해 고종은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각국 공사와 만난 자리에서 고종은 다른 나라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본동경 야스쿠니 신사에 방치되었다가 2001년 5월에 반환.
강탈
1907년 한국을 방문한 일본정부 궁내 대신 다나카가 경기개풍군 경천사 10층 석 탑(14세기) 해체해 도쿄로 빼돌림
1906~10년경 평양시 대동구역의 조선시대 누정 애련당 반출
1915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