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전기 한중 관계사와 시론」『홍익사학』,4, 1990
·민덕기 「조선후기 조·일강화와 조·명관계」『국사관논총』12집, 1990 Ⅰ. 서론
Ⅱ.임진왜란 전의 삼국의 정치상황
Ⅲ. 임진왜란의 발발
Ⅳ. 임진왜란의 종결
Ⅴ. 결론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3.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파기) →정유재란
발발 → 명량대첩(이순신) → 도요토미 사망 →
노량대첩(임진왜란 종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영향
임진왜란의 원인과 전개
임진왜란의 영향
병자호란의 원인과 전개
병자호란의 원인
참고문헌
|
- 페이지 4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7.14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격파하면서 마지막 탈출의 기회를 노리게 되었다. 공과 수군은 명나라 수군과 연합하여 왜군을 관음포로 유도하여 섬멸하였다. 이 해전에서 공은 적의 총에 맞아 전사하였으며 왜선은 200여척이 격파되고 이로써 임진왜란은 종결되었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9.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거북선의 구조
4) 임진왜란의 일본 배
4.1 일본 전함의 특징
4.2 일본의 안택선
5) 해전의 전술과 학익진
5.1 임진왜란의 해전
5.2 해전의 전술
6) 조선의 선박과 정유재란
6.1 전쟁의 종결
6.2 수군의 역할과 승리요인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1.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결되었으나 이 전쟁 전과 전쟁 후는 너무 많은 것이 달라져 있었다. 1.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대전략
2. 일본의 군사력
3. 조선의 군사력
4. 임진왜란의 발발과 진행
5. 일본의 전쟁방식과 임진왜란 사이의 괴리
6. 조선의 초기 패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