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화와 협력 발표논문
외교통상부 외교정책실 안보정책과(1998), 동북아 다자안보 협력의 현황과 전망
전동진(1999), 동북아 다자안보체제의 가능성과 한계, 부산정치치학회보
최영종(2005), 동북아 다자안보의 미래: 가능성과 미래, 제2회 한반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반도의 안보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고, 현실적으로 가능하지도 않다. 그렇기 때문에 공동안보·협력적 안보·포괄적 안보개념에 기초한 다자간 안보협력은 한반도 군축의 분위기를 조성·유지하는 중요한 촉진제가 된다.
Ⅷ. 동북아다자안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 외국 무력의 철수
4) 군축과 그 이후의 평화보장
2. 한국의 군비통제 제안
1) 정치적 신뢰구축
2) 군사적 신뢰구축
3) 남북간의 군비감축 추진 방향
3. 분석 및 평가
Ⅵ. 향후 한반도 군비통제의 전망
Ⅶ.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변 4강의 전략적 이해 변화
1. 동북아 전략환경
2. 주변 4강의 전략
Ⅳ. 대응전략
1. 대미정책
2. 대일정책
3. 대중국정책
4. 대러시아정책
5. 양자적 상호의존 관계 심화
6. 다자 지역 경제협력 주도
Ⅴ. 맺는말
참고문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안보조약에 따른 이후 1950년대의 일본상황
4. 신 미·일 안보조약 (60년대 미·일안보조약)
1) 신 안보체제의 국제적 배경(1960년대의 세계)
2) 신 안보조약의 조인
3) 신 안보조약의 의의
5. 신 자위대법
6. 신 미일 방위협력 지침(New Guide L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3.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