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호시조 란?
강호가도가 시조에 구현된 것
강호시조에 나타나는 자연은 작자의 사상과 감정이 담겨있음
작자층이 ‘사대부’라고 하는 특정집단
강호시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강호에 투영되는 사대부의
이념과 인식을 제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9.06.0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580-1656)
2) 이휘일(1619-1672)<전가팔곡> 8수
3) 위백규(1727-1798)<농가구장>
4) 안서우(1664-1735)
5) 신헌조(1752-1809)의<봉래악부>
Ⅳ. 조선시대 시조의 내용
Ⅴ. 조선시대 시조와 사설시조
Ⅵ. 조선시대 시조와 주요 시조작가
참고문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작품
2.1 이현보의 <어부단가>
2.2 이황의 <도산십이곡>
3. 17세기 강호 시조의 배경과 특징
4. 17세기 강호 시조 작품 분석
4.1 이휘일 <전가팔곡>
4.2 김광욱 <율리유곡>
4.3 김득연 <산중잡곡>
Ⅲ. 결론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9.06.0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경세(1547-1615)
3) 이신의(1511-1627)
4) 조존성(1533-1627)
5) 박선강(1555-1617)
2. 사대부 시조의 변이
1) 김광욱(1580-1656)
2) 이휘일(1619-1672)<전가팔곡> 8수
3) 위백규(1727-1798)<농가구장>
4) 안서우(1664-1735)
5) 신헌조(1752-1809)<봉래악부>
참고문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경세(1547-1615)
3) 이신의(1511-1627)
4) 조존성(1533-1627)
5) 박선강(1555-1617)
2. 사대부 시조의 변이
1) 김광욱(1580-1656)
2) 이휘일(1619-1672)<전가팔곡> 8수
3) 위백규(1727-1798)<농가구장>
4) 안서우(1664-1735)
5) 신헌조(1752-1809)<봉래악부>
참고문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