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장이 발생합니다. 이 전기장선 중 같은(등) 전위의 점(전위차 값을 갖는 지점)들의 모임을 연결 한 선이 등전위선이라고 합니다.
전위 : 전기장 안의 한 점에 어떤 표준점으로부터 단위 전기량을 옮기는 데 필요한 두 점 사이의 전압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8,400원
- 등록일 2013.10.2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V/m) 이다.
8) 따라서, 전기장 E는 등전위선 (면)에 수직이 된다. n은 등전위선 (면)에 수직인 단위벡터이다.
9) 편의상 2차원 평면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어느 도체판의 두 단자를 통해서 전류를 흘릴 때 도체판 내에서의 전류의 유선의 방향은 전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2.1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체판 위에 적당한 모양의 두 전극을 놓고, 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가하여 전극 주위에 형성된 등전위선을 구한 후 전극 주위의 전기력선을 그린다.
두 단자 사이에 전류가 흐를 때 평면도체에서의 전류방향은 전기장의 방향을 나타내는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1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등전위선은 양 전극의 전위차로 인하여 생기는 것이다. 양 전극에 모두 +극을 놓게 되면 전위차가 생기지 못하며, 전위차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등전위선을 측정할 수 없다.
② 만약 양전극 사이에 적당한 전위차를 만든 다음에 전선으로 양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2.0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극을 그릴수가 없다.
세 번째, 침핀. 처음 실험을 할 때 직류 전원공급기에서 케이블을 연결하고 도선을 침핀에 연결한 후 그것을 전도성 종이위의 전극에 꽂아서 실험을 하였다. 도선과 전도성 종이위의 전극 사이에 침핀이라는 방해물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