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제주도 방언의 형성 배경 및 하위방언
2. 제주 방언의 음운상의 특징
3. 제주 방언의 형태론적 특징
4. 제주 방언의 통사론적 특징
5. 제주 방언의 어휘상의 특징
6. 기타사항
7. 맺음말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제주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1. 소그멍말멍했수다
2. 봉강오쿠다
3. 대껴부런
4. 자파리
5. 화룩친다
6. 내불라
7. 와리지 말라
8. 경 골라
9. 도르멍
10. 괴우랑
11. 수고합서게
12. 봅데강
13. 놉뜨지 맙써
14. 무사마씸
15.
|
- 페이지 43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1.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 페이지 4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5.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주도 방언
제주 방언은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래서 목소리가 다른 지역 사람들보다 높고,(목소리가 작으면 바람 소리때문에 소리가 전해지지 않는다) 말이 짧다. 말이 길면 바람에 소리가 죽어서 의미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휘에 의거하였다.
방언 어휘의 음운 표기는 별계 표기법에 의거하며, 모음 자음의 각각에 따른 방법으로 방언 어휘의 음운 양상을 설정하였다.
제주도 방언의 명령법 어미 체계는 표준어와 매우 다르다.
표준어에 쓰이는 대표적 어미 형태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8.07.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