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획 2020 모니터링 및 평가 위원회’에 제공하는 통합지원체계가 구성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Ⅲ. 결론
본론에서는 제4차 국민건강증진계획(Health Plan 2020)의 중점과제인 영유아건강의 지표별 목표설정, 모니터링 등을 설명하고 세부사업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6.10.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부사업
지역특화건강행태개선사업
노인건강운동교실
생애전환기건강검진사업
5. 모니터링
현재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성과지표의 자료원은 10개 기관, 20종 이상의 자료원을 활용해야한다. 이처럼 산재한 통계를 단순 취합하는 형태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6.10.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 및 환아 관리 강화, 신생아 난청선별검사 확대,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확대 등을 통해 고위험 신생아의 장애발생을 최소화한다.
모유수유 실천 향상, 보육시설 영유아 건강관리 강화를 통해 영유아 성장발달 및 건강증진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16.10.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건강증진에 기여한다.
8. 영유아건강 세부사업 내용 및 방법(취학전 아동 실명예방사업)
8-1) 사업배경
○ 시각장애의 93.2%는 예방 가능한 각종질환 및 사고 등 후천적 원인에 의한 것이다(보건복지부통계
연보 ’09).
○ 아동 및 청소년의 근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16.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건강증진에 기여한다.
8. 영유아건강 세부사업 내용 및 방법(신생아집중치료실 지원)
고령 임신부, 다태아 증가 등으로 저체중 출생아 발생률이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 모의 평균 출산연령:27.6세(’93) → 29.0세(’00) → 31.0세(’09)
- 다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6.09.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