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신정권에 반대하는 반란
고려무신정권에 반대하는 반란으로는 김보당의 난과 조위총의 난을 들수가 있다.
김보당의 난은 1173년(명종 3년), 무신 정권에 반대하여 문신 출신인 동북면
병마사 김보당 등이 일으켰던 난이다.
김보당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4.05.01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난]
김보당의 난
명종3년(1173) 동경(경주)
무신정권 토벌 및 의종 복위
문신에 의한 난 – 귀족정치로의 환원
문신들이 대거 숙청 당함
조위총의 난
명종4년(1174) 서경(평양)
표면적- 의종을 죽이고 권력을 독차지한 무인정권의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3.07.1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난은 사회적으로 커다란 변화를 일으키고 있었던 것이다. 김상덕, 앞의 논문, p.42~44
맺음말
지금까지 12세기 고려무신정권기의 농민, 천민봉기에 대해 알아보았다. 무신정권기는 사회적 변동의 혼란 속에 지배층의 권력다툼으로 정치권이 흔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위총의난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활약하였고, 몇 년 후에는 지안동부사로서 외직을 맡아 우수한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1196년(명종 26년)에 이의민 일당을 제거하고 정권을 잡은 최충헌은 반대 세력은물론 혐의가 있는 자까지 모조리 숙청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4.05.01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난→ 영광김씨 처음에는 무신정권 참여. 동북면의 병권을 잡은 것을 계기로 정중부이의방 제거와 의종복위를 도모
⇒ 문신의 대량 학살. 의종 거제도에서 경주로 이배되었다가 이의민에 의해 피살
④ 명종 4년(1174) 서경유수 조위총 거병→ 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7.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