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선의 물꼬를 되돌리지 않고 통일의 방향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신뢰구축의 확대를 포함한 남북한 협력의 강화와 균형외교가 최소 필요조건이 되어야 할 것으로 사려된다.
참고문헌
강근형(2004) - 동북아시아 안보공동체 구축, 제주대학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북아시아안보(동북아안보)와 러시아
옐친이 집권하던 시기 러시아는 체제전환을 위한 노력에 집중하여 동북아에 큰 관심을 둘 수 없었다. 남한과의 관계도 이런 차원에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북한과는 경제적 이익 부재로 소원하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북아 동맹전략과 동맹의 안보딜레마, 그리고 한국의 국가안보전략에 대한 함의, 한국과 국제정치
윤영관(2001), 남북한 관계와 동북아 다자협력, 동아일보 창간 81주년 기념 한중일 국제학술의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협력 발표논문
외교통상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정형근(2007), 21세기 동북아 신국제질서와 한반도, 엔북
▷ 최혜실(2010), 한류 문화와 동북아 공동체, 집문당
▷ 한용섭(2010), 미중 경쟁시대의 동북아 평화론, 아연출판부 Ⅰ. 동북아(동북아시아) 안보정세
1. 중국의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8.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북아시대(동북아시아시대)의 한국과 대만 관계(한대관계)
1. 항일전쟁의 혈맹
2. 반공전선의 혈맹
3. 노태우 정부의 배신
Ⅴ. 동북아시대(동북아시아시대)의 한국과 일본 관계(한일관계)
Ⅵ. 향후 동북아시대(동북아시아시대)의 과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