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권을 탈취.
영남의 각 지역 혹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져온 서각, 상아, 비취, 진주 등의 사치품을 교역. Ⅰ. 바닷길의 개념
Ⅱ. 중국의 바닷길
Ⅲ. 중국과 인도 로마의 바닷길
Ⅳ. 한국과 일본의 바닷길
Ⅴ. 의의
Ⅵ. 지정토론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0.10.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국의 무역선은 이때부터 16~17세기까지 동으로는 한국, 일본, 오키나와,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을 누볐고 서쪽으로는 인도, 페르시아, 아프리카 까지도 왕래하게 되었는데 가장 멀리까지 간 것으로는 카이로까지 라고 한다.
2)현대의 바닷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1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로마의 귀족을 사로잡은 비단
10)유럽의 역사를 바꿔 놓은 제지술
11)실크로드를 오간 사람들
12)실크로드의 상인들
13)동아시아의 종교, 불교
14)계절풍을 이용한 바닷길
15)이슬람 상인의 활동
16)해양 실크로드의 중심 인도
17)로마의 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9.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로마의 보석, 페르시라의 직물, 악기 →
포도, 호도, 마늘, 오이, 당근, 깨 등 서역 식물 →
인도
대승불교, 간다라 미술 →
서아시아
조르아스터교, 마니교, 네스토리우스교 →
바닷길
유럽
(아랍상인)
← 동남아시아 향료, 상아, 산호
← 중국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1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국인은 바닷길을 주로 이용하였다.
② 초원길은 이슬람 상인의 활동 무대였다.
③ 사막길을 통해 간다라 미술이 전해졌다.
④ 사막길은 유목 민족의 주요 활동 무대였다.
⑤ 나침반을 사용하면서 초원길이 활성화되었다.
62. 다음 중 나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