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가의 전통이 잘 보존되고 지켜졌으나, 8·15광복 이후 생활의 근대화에 따라 사용 재료의 변질과 함께
양식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지방 고유의 특색을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중부지방 민가
중부 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3.1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문운당
강영환 (2002), 새로 쓴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김유숙 외(2005), 알기쉬운 건축환경, 기문당
주남철 (1999), 한국의 전통민가, 아르케
한스 율겐 한젠 외(1995), 서양목조건축, 발언p.126
http://www.koreanfolk.co.kr(한국민속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부지방 농가로서는 특이한 구성을 보이는 예이다.
* 중부지방 민가
중부지방 민가로서 안채와 사랑채, 광채가 튼 ㅁ자형으로 되어 있다.
안채의 대청과 사랑채의 툇마루가 잘 갖추어져 있다
(4)북부지방
* 북부지방 농가
중부지방의 일반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방 농가
중부지방의 일반형인 ㄱ자형 안채와 일자형 문간채 광채가 튼 ㅁ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농가이다. 추운 겨울에 부엌과 방에서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규모가 큰 것이 특징이다.
[그림 2-22]
② 북부지방 민가
일곱채의 집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방 농가
중부지방의 일반형인 ㄱ자형 안채와 일자형 문간채 광채가 튼 ㅁ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농가이다. 추운 겨울에 부엌과 방에서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규모가 큰 것이 특징이다.
[그림 2-22]
② 북부지방 민가
일곱채의 집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0.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