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간 농산물 위생검역 분쟁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상학회
ⅱ. 이형근 외 1명(2010), 중국 동북지역과 일본 간 경제협력채널의 현황 및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ⅲ. 영화진흥위원회(2001), 중국영화산업백서 Ⅰ
ⅳ. 한국능률협회(1988), 중일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으로서 동북아사이의 48% 39% 81%를 차지하고 있다.
<동북아 각국의 경제규모(1999년기준)>
구분
국토면적
인구
GNP
1인당GNP
수출입계
수출
수입
한국
9.9
45.9
480
10,457
280
136
144
일본
37.8
125.9
5,140
40,826
759
421
338
북한
12.3
23.9
20
837
2.2
0.9
1.3
중국
960
|
- 페이지 5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9.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계로 발전하기는 어려울 것임.
넷째, 향후 한국은 동북아에서 중국과 일본간 교량적 역할을 모색해야 하는바, 이 경우 미국과 동맹관계를 맺지 않는 한국은 중국, 일본에 대한 협상력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을 것임.
다섯째, 중국경제의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러의 영향력 감소를 자국의 영향력 확대로 연결하고, 경제부문을 중심으로 일본과의 긴밀한 협조체제를 유지하되 일본의 정치·군사적 팽창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견제함으로써 자국의 역할 증대, 국익 확대에 유리한 동북아 신 국제질서를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간국으로서 한국은 주변 패권국, 중간국의 강대국의 외부 환경적 변수가 심하게 작동할 수밖에 없는 위치이다. 동북아시아는 현재 패권국 미국 주도의 체제로, 여기에 정치, 군사, 경제적 역할 증대를 모색하고 있는 중국과 일본이 중간국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