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람산지역)의 식생분포
1. 곰솔군락(Pinus thunbergii community)
2. 곰솔-상수리나무군락(Quercus acutissima-Pinus thunbergii community)
Ⅲ. 밀양지역(밀양댐지역)의 식생분포
Ⅳ. 곡성지역(봉두산지역)의 식생분포
1.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2.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지역(토함산,삼태봉,무룡산지역)의 식생분포
1. 토함산 소평가단위(A)
2. 삼태봉 소평가단위(B)
3. 무룡산 소평가단위(C)
Ⅲ. 밀양지역(밀양댐지역)의 식생분포
Ⅳ. 통영지역(미륵산, 구절산, 지리산지역)의 식생분포
1. 식물군락의 분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밀양댐이 차지하고 있다.
2) 지질
밀양댐지역의 암석은 백악기에 형성된 화성암류 및 셰일층으로써 하위층은 밀양 안산암이며 상위층은 정각산층으로 구분되는 셰일이 분포한다. 정각산층은 거대한 분류암인 밀양 안산암 위에 놓여있고, 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희귀식물
1. 망개나무 Berchemia berchemiaefolia (Max.) Koidz.
2. 모감주나무 Koelreuteria pariculata Laxm.
Ⅷ. 부안댐의 희귀식물
1.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um Nakai)
2. 개족도리(Asarum maculatum Nakai)
3. 지리산오갈피(Acanthopanax chiisanensis Nakai)
참고문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분포하는 적색토, 황색토의 생성 과정에서는 라테라이트화 작용이 심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1. 산림의 역할
1) 자원의 곳간 기능
2) 아름다운 방음벽 기능
3) 거대한 녹색 댐 기능
4) 재해방지 기능
5) 건강증진 기능
6)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