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어선을 회복하고 돌파구내의 북한군을 격멸함으로써 장차 반격의 여건을 조성할 수 있었다. 1. 지연작전 의의 및 차후작전에 미친 영향
1) 서론
2) 본론
3) 결론
2. 낙동강 방어선 형성 배경 및 군사적 의의
1) 서론
2) 본론
3) 결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20.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작전에서 많은 전투력을 상실하고, 긴 병참선과 유엔공군의 활동증가로 그들은 작전행동에 많은 제약을 받아 전투력이 감소하였다.
한국군의 지연작전시 목적달성 결과를 분석해보면, 적 전투력 약화, 미군 증원, 한국군 재편성 및 지휘체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하겠다.
[참고문헌]
1. 단행본
국방군사연구소 역, 『걸프전쟁(미 국방부 의회최종보고서, 부록)』, 1993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 한강선 방어와 초기 지연작전』, 2004
국방부 군사편찬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1.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연작전은 초기작전간 피·아 작전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던 전투로서 북한군 제1군단의 포위섬멸 기도를 좌절시키고, 한강 방어선을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렇듯 수도권 서측방어를 위한 김포반도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였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연작전』, 일본 육전사연구 보급회 편, 제1권, 서울 : 명성출판사, 1986.
육군본부, 『밀물과 썰물』, 대전 : 육군본부, 1992.
육군사관학교,『한국전쟁사』, 서울 : 육군사관학교, 1987.
이종학,『한국군사사서설』, 경주 : 서라벌 군사연구소.1991.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