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forme 및 N. minutum의 순수배양에 의해 질소고정을 발견했으나, 헤테로시스트를 갖지 않는 남조(Microcoleus vaginatus)나 녹조(Stichococcus, Ulothrix 및 Protococcus) 등 에서는 질소고정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들 연구에 사용된 남조가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질산염, 이산화질소 등)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콩과 식물은 뿌리혹을 통해 뿌리혹박테리아와 공생하며 질소를 고정한다. 자연적인 고정은 번개에 의한 고정과 미생물에 의한 고정으로 나눌 수 있다. 미생물에는 토양 미생물인 질소 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1.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탄세균의 Methanobacterium, 황산환원균의 Desulfovibrio, 방선균의 Nocardia 등이 있다. 또한 사상균의Aspergillus, 효모의 Saccharomyces, 그리고, 시아노박테리아인 Anabaena 등도 비공생성이다. 이 중 Azotobacter와 Clostridium은 질소고정능이 크고 분포도 넓다. 질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15.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질소 비료를 과다하게 시비할 경우 생기는 두 번째 문제는 토양의 오염이다. 비료 과용에 의한 하천의 부영양화, 지하수 오염 문제 등 환경 문제와 엮여있다. 환경오염방지나 생산비 절감등의 여러 면에서 콩과식물의 질소고정능력에 대한 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9.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추위는 질소고정을 거의 0까지 줄인다.
다섯째로 칼슘과 Ph를 들 수 있다. 질소고정에 Ph의 효과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나타난다. 산성토양에서는 Rhizobium이 결핍되며 또한 산성토양에서 형성된 근류는 종종 비효율적인 박테리아의 계통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