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였다.
이에 독립군은 전사자 272명, 포로 917명, 행방불명자 259명, 익사 31명이라는 처참한 피해를 입었는데 이 사건을 자유시 참변이라고 한다.
자유시 참변이후 만주의 독립단체 사이에 통합운동이 추진되어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의 3개 군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3.10.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참변【1920. 11-12】
4. 자유시 참변【1921】
5. 독립군의 재정비(3부의 성립)【1923-24】
6. 미쓰야 협정【1925】
7. 한중 연합 작전【1931년 이후~】
Ⅳ. 해방운동(독립운동)의 정당
Ⅴ. 해방운동(독립운동)의 독립선언문
Ⅵ. 해방운동(독립운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독립군
1. 봉오동 전투【1920. 7】
2. 청산리 대첩【1920. 10】
3. 간도 참변【1920. 11-12】
4. 자유시 참변【1921】
5. 독립군의 재정비(3부의 성립)【1923-24】
6. 미쓰야 협정【1925】
7. 한중 연합 작전【1931년 이후~】
1) 민족주의 진영
2) 사회주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참변 이후 강화된 일제의 독립군 탄압을 막아내며 무력으로 맞싸웠을 뿐만 아니라, 한인의 자치를 담당하는 군 정부로서의 역할을 했다. 세 단체는 각기 스스로의 힘을 키워 나가는 한편, 보다 강력한 항일 투쟁을 벌이기 위해 하나의 독립 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독립군이 화룡현 삼도구 청산리와 이도구 어랑촌 부근의 심산장곡에서 일군과 10여회의 대소회전을 벌여 청산리대첩을 거둔 것은 저명한 사실이다. 독립군은 그 후 경신참변을 비롯한 허다한 곤경과 악화되는 내외 여건을 무릅쓰고 비록 봉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