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않고 물을 흘리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양재천의 바닥이 돌을위주로 구성되었다는 점에 반해 청계천에 물을 흘리는데 더 어려운 점이다. 방법은 두가지 정도를 생각할 수 있다. 청계천의 지하를 파내는 것과 그냥 두고 모래가 막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계천 연혁지속가능한 청계천변 개발계획(서울대 환경대학원 양윤재 교수)
구분
내용
조선시대
1411년(태종 12년) 청계천 대공사계획을 수립하고 개거도감(開渠都監)을 두어 다음해 착공 : 석축제방, 목축제방 축조, 대광통교, 소간통교 및 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감』, 예림당
김수일, 1997, 순천만 조류환경과 생태공원화 방안『지역과 전망』, 일월서각
갯벌의 효율적 이용과 보존을 위한 연구 1998.2 한국해양연구소
우리나라 간척지의 농업현황 및 토양해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세계 주요국
|
- 페이지 4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9.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