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계천을 60m로 축소한 ‘청계 미니어처’엔 광섬유를 심어놔 밤에도 반짝반짝 빛나는 청계천 모형을 감상할 수잇다.
청계천<광통교>
≪ 사 진 ≫ ≪ 사 진 ≫
조선 태종 10년에 정동에 있던 태조의 비 신덕왕후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8.1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계천의 과거
본래의 명칭 : 개천(開川)
북악산·인왕산·남산 등으로 둘러싸인 서울 분지의 모든 물이 모여드는 곳
조선 태종 때 1차 개천사업 시행, 영조 때 2차 개천사업
일제강점기 초 대대적인 준설공사 (청계천으로 이름이 바뀜)
195
|
- 페이지 3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12.2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청계천의 역사
청계천의 탄생
조선초 도성건립과 배수물길을 위해 개천에 대한 정비작업을 진행했다. 태종때 자연천정비를 하면서 둑을 쌓아 하천의 모습을 만들고, 이후 세종때 지천과 세천에 대한 추가정비를 했으며, 청계천을 처음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2.1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계천 연혁지속가능한 청계천변 개발계획(서울대 환경대학원 양윤재 교수)
구분
내용
조선시대
1411년(태종 12년) 청계천 대공사계획을 수립하고 개거도감(開渠都監)을 두어 다음해 착공 : 석축제방, 목축제방 축조, 대광통교, 소간통교 및 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 개항의 흔적들
1) 차이나타운
2) 자유공원(만국공원)
3) 인천항(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
4) 화도진 공원
<2> 조선 내부에서의 반발
1) 국립중앙박물관
2) 운현궁
<3> 유사한 현재의 사례
1) 광화문(청계천)
3. 답사를 마치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