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산리 전투에서 홍범도·김좌진부대의 활동 재조명, 이문사, 1996
박환, 김좌진장군의 항일독립운동 성격과 역할, 국방부, 2002
이성우, 백야 김좌진의 국내민족운동, 호서사학회, 2006
이성우, 독립군 지도자 백야(百冶) 김좌진(金佐鎭) 장군, 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투중 가장 빛나는 전투가 봉오동대첩(1920.6.7)과 청산리대첩(1920.10.21-10.26)이었다. 이 전투는 우리민족이 일본군을 상대로 최초로 맛본 승리였다. 이로써 일제치하의 시간동안 한번도 강력한 대응을 해보지 못한 우리 민족에게는 맺힌 한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투를 한 것으로 많은 전투가 있지만은 크게는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가 있다. 특히 김좌진 장군이 이끈 청산리 전투는 백두산의 험한 지리를 잘 이용하여 적을 청산리로 유인, 적을 격퇴한 것으로 지리적 이점을 잘 이용한 전투라 할 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여 간도(間島)라 지칭함 1. 만주지역 독립운동의 역사적 배경
2. 만주독립운동 기지건설의 움직임
3. 독립전쟁의 전개
(1) 봉오동 전투
(2) 청산리 전투
(3) 영릉가 전투
(4) 쌍성보 전투
(5) 대전자령 전투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7.07.1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삼둔자 전투
6. 봉오동전투의 전개과정
7. 봉오동 전투의 여파로 인한 독립군 연합 결성
8. 김좌진[金左鎭, 1889~1930]
9. 청산리대첩
10. 청산리 대첩의 전개과정
11. 청산리대첩의 의의와 영향의 재검토
12. 맺음말
13. 소감문
참고문헌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