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피질의 모세관후 세정맥(postcapillary venule)을 통해 림프절로 이동한다. T 림프구는 부피질에서 지상돌기세망세포(interdigitating reticulum cell)로부터 제시된 항원에 의해 활성화가 되는데 이 대세포를 면역아세포(T-immunoblast)라 부른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극받은 T세포는 세포성 면역반응을 이룰 수 있는 세포로 분화되며, 일부는 기억세포로 남아서 다음에 같은 항원에 노출되었을 때 2차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점에서 B세포 중심의 체액성 면역반응과 같지만, 세포성 면역에 관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면역요법
- 유전자요법
5. 인체의 방어기능(면역작용)
- 면역을 담당하는 중심세포는 백혈구, 특히 림프구
- 체액성 면역: 항원의 자극으로 B림프구가 형질세포(항체생산 세포)로 변화하여 항체 생산하고,
이 항체가 항원과 반응하는 면역반응(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5.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면역 저하된 수혜자에게 면역이 있는 공여자의 골수 속에 있는 T림프구가 중심이 되어 반응을 일으킨다.
급성: 이식 수1일~100일.
만성: 100일 이후. 피부, 간, 소화기에서 발생. 피부에서는 홍반성 발진으로 시작하며 심한 탈피가 일어난다. 체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포(stem cell)에서 생성되고 조류의 Bursa에 해당되는 편도선, 충양돌기, payer\'s patch 등을 거치면서 분화, 성숙하게 된다. 이 세포가 항원자극을 받으면 항체를 생산하여 면역반응을 하게 되는데 이것이 체액성 면역반응의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6.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