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험으로서 우리가 얻은 결론은 탄성줄에서는 장력을 증가시키고, 선형밀도가 작은 소재를 사용하면 파동속도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비탄성줄에서는 장력이 증가할수록 파장이 커지고 파동속도 또한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탄성 줄의 장력과 정상파
L= 1.13m
f= 30.0Hz
= 0.000113kg/m
세그먼트의 수
n
파장
(m)
파장에 의한 파동속도
(m/s)
매달린
질량
m(kg)
장력
mg(N)
장력에 의한 파동속도
(m/s)
퍼센트
오차
(%)
1
2.66
79.8
0.0652
0.639
75.2
5.77
2
1.33
39.9
0.0195
0.191
41.1
3.07
3
0.887
26.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1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나타날 수 있도록 장력을 추가로 조절한다. 역시 진동기의 날의 끝부분을 확인한다. 줄을 묶은 지점에 마디가 위치하여야한다.
⑥ 추걸이를 포함하여 매달린 질량(m)을 기록한다.
⑦ 줄의 장력(mg) F=mg를 계산한다.
⑧ 알아낸 장력과 선형밀도로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줄의 진동은 장력과 속도 파장의 관계를 생각해보면 장력이 커질수록 속도가 커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리고 우리가 실험했던 것은 비탄성 성질을 갖은 실로 실험을 했지만 고무줄과 같은 탄성력을 갖은 줄과 비탄성 성질의 줄에서의 각각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9.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탄성학적인 응력분포 상태는 동일선상에는 색이 같은 천연색 지도처럼 나타난다.
참고문헌
신관수(1991), 광탄성 실험에 의한 응력측정, 인천대학교
윤한식(1984), 고강도 , 고탄성률 의 합섬, 한국섬유공학회
오민호 외 5명(2010), 고강도 콘크리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