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강, 위점막내 기계적, 화학적 자극, 미주신경
5) 소장액: 단주세포, 배상세포에서 분비
-분비물: 점액, 소화효소
-조건반사, 무조건반사: 소장점막의 기계적, 화학적자극, 점막하 신경에 의해서 장액 분비
6) 대장액: 단주세포에서 분비
-분비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3.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혀밑샘, 귀밑샘, 턱밑샘이 각각 1쌍씩)
침 분비 경로 : 음식물 (화학물질) ⇒ 혀의 미뢰 ⇒ 감각신경 중 설인신경 ⇒
연수 ⇒ 운동신경 ⇒ 침 분비
타액 : pH 6.4 ~ 6.8의 약 산성
소화효소 : 아밀라제 (amylose)
|
- 페이지 3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6.06.1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경은 안뜰핵에서 신경연접을 형성하고 여기서 시작된 축삭들이 소뇌와 대뇌반구의 평형감각겉질에 이른다. 대부분의 안뜰신경 축삭들은 기들이 기시하는 신경핵과 같은쪽에 위치하고 있다.
9. 혀인두신경(설인신경, glossopharyngeal nerve, IX)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3.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경은 눈물샘의 분비운동신경과 연구개의 미각감각신경, 안면 근육과 안면뼈의 심부통감을 지배한다. 두번째 분지는 등자근신경으로서 속귀에 도달하는 음향진동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마지막 분지인 고실끈신경은 턱밑샘과 혀밑샘으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07.11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턱밑샘, 혀밑샘 등 3개의 큰침샘이 있다.
귀밑샘은 제일 큰침샘으로 귀 바로 뒤에서 목의 외축면을 지나 어깨까지 퍼져있다. 귀밑샘 분비물을 운반하는 귀밑샘관은 안면신경과 함께 교근을 교차해서 지난뒤 혀안이 큰어금니 반대쪽에 개구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