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종성법 《국어학개설》, Page 246 ~ 247, '팔종성법‘
2004년 2학기 영남대학교 ‘언어와 인간’ 강좌 강의자료 참고
한글이 창제된 당시 받침으로 쓰인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등 8개였다.
= 팔종성법
17세기 말부터 ‘ㄷ’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7.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팔종성에 대하여」, 국어학외, 2003, p. 8~16
훈민정음은 15세기의 국어이다. 따라서 현대 우리의 발음과 얼마든지 다를 수가 있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존재했던 ‘ㆆ,ㅿ,ㆁ,ㅸ,ㆀ,ㅥ,ㆅ,ㆍ’등 많은 문자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소실하고 음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