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언
표준어
평안 방언
선녀
선네
양반
낭반
가셨다(가+시+었+다)
가셋다
졌다(지+었+다)
젯다
가면서
가멘서
벼
베
녹여서(녹+이+어+서)
노게서
비벼서(비비+어+서)
비베서
수료
수로
일류
일루
F. 통시적으로 /ㅅ, ㅈ, ㅊ/ 다음의 /ㅡ/모음을 가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 - 제주도
2.1.2. 도(道) 단위의 방언구획
현지 조사를 거쳐 도 단위의 방언구획이 시작된 것은 1960년대에 들어와서 이다.
먼저 경상북도의 방언구획에서 천시권(1965)은 음운, 어휘, 어법을 기준으로 고찰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의문종결어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200원
- 등록일 2018.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을 활용하였다는 점만은 분명하다.
참고문헌
◇ 강희숙, 김용택 시어의 방언 문법론, 우리말글학회, 2003
◇ 김용희, 서정주 시의 시어와 이데올로기, 한국시학회, 2005
◇ 조창규, 소월과 영랑 시어의 계량언어학적 고찰, 배달말학회, 2002
◇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은 연령, 성별, 직업, 목적, 의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현대는 전달 매체와 산업 사회의 발전, 국제화 시대의 진입으로 인한 급속한 변화와 더불어 국어도 급속한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는 것이 현대국어의 주된 특징이다.&nb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8.10.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현된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는 구개음화가 실현되지 않는다.
(23) 텬하(천하), 듕국(중국), Ⅰ. 방언과 방언학
1. 언어와 방언
2. 표준어와 방언
3. 방언연구 방법론
Ⅱ. 방언학의 전개
1. 방언의 특징
2. 방언연구의 의의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