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행상태도
2.1.1 Fe-Fe3C 상태도에 나타나는 고상의 종류
(1) α 페라이트(α-Ferrite)
(2) 오스테나이트(Austenite)
(3) 시멘타이트(Cementite)
(4) δ 페라이트(δ-Ferrite)
2.1.2 불변반응
(1) 포정반응(Peritectic Reaction)
(2) 공정반응(Eutectic Reaction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그림 2.4에서 A1 변태온도 직하인 d점에서의 펄라이트의 중량 분율은 A1 변태온도 직상인 c점에서의 오스테나이트의 중량 분율과 같게 될 것이다. 따라서 0.4%C의 아공석강에 있어서 723℃ 직하의 온도에서 존재하는 펄라이트의 중량 분율은 50%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태도를 인용하자면 Sn이 첨가될수록 액상선이 감소하는 추세로 진행되는 것을 통해 볼 경우 주석이 첨가됨에 따라서 열에너지와 온도감소량의 열평형이 시작되는 구간이 점점 더 낮아지게 되는데, 그렇다면 열에너지와 온도감소량을 다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태도를 보면 Al 6063의 Tm점과 Ts점이 같게 나와야 하는데 일치 하지 않게 결과가 나온 것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실험 시 용탕을 운반 할때의 온도 오차 등 여러 가지 원인들로 정확한 값이 산출 되지 못한 것으로 사료 된다. 상태도는 3가지 물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태도는 1상 영역에 대해서는 면적을, 2상 영역에 대해서는 tie line을 계속해서 순환함으로써 연결된 곡선의 쌍 및 3개가 교차함으로써 생긴 tie triangle을, 3상 지역에 대해서는 2상 영역을 가지고 있다.
만일 구획들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역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