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다. 회절과 수차는 렌즈에 정확한 상이 맺히는 것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기본이론
1. 분해능
2. 이미징 렌즈
3. 회절과 수차
4. MTF
5. LSF(line-spread function)
실험 방법
실험 결과
6. ESF(edge spread function)
7. 근축 근사
8. F number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2.06.20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하광학 설계 프로그램(OSLO)을 이용하여 렌즈를 활용한 광학계를 설계, 분석해본다. 또한 설계한 광학계를 실제로 구현하여 실험해보고 설계와 결과를 비교해본다.
기본이론
1. Paraxial ray tracing
Paraxial ray tracing(역선 추적)은 빛이 광학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2.06.20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광학현미경을 1학기 때도 자주 사용하였지만 정확한 원리와 명칭은 모르고 있었던 것 같다. 조사하면서 현미경의 원리와 현미경들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1학기 때는 조리개는 딱히 사용하지 않았었는데 이번 실험을 통해 조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1.0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하광학 실험
실험 목적
▶ 실험을 통해 굴절과 반사, 수차 등 빛과 렌즈의 특성에 대해 알아 봄.
실험1.
볼록렌즈와 오목렌즈의 특성을 이용하여 원시안과 근시안의 교정을 눈으로 확인해본다.
실험2. 카메라의 원리에 대해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5.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under etching으로 인해 grain boundary가 모두 드러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 네이버 백과사전, 재료공학 개론
,http://blog.naver.com/ezclub21?Redirect=Log&logNo=140114246400 이론적배경
①에칭
②광학현미경
결과
토의사항
논의 및 고찰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8.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노트에 기록하여 실험을 마친 다음 돌아가기 전에 반드시 확인 받아야 한다.
※ 실험 보고서는 매 실험 종료 후 일주일 후에 제출하여야 한다.(보고서는 A4용 지 또는 실험노트를 사용한다.) ‣ 실험실 1
실험 1.파동광학과 기하광
|
- 페이지 58페이지
- 가격 12,600원
- 등록일 2012.10.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과 같다.
6. 참고 문헌 :
인터넷
금속재료학 김수영저 문운당 p.64-71
금속재료학 한복희역 반도출판사 p.3-5 1. 실험 제목 : 광학 현미경 조직 사진 관찰
2. 준비물 : SS41, SiC paper, Al2O3 1μ
3. 이론
4. 실험 절차
5. 결과 및 고찰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에서 optical microscopy를 사용했는데 광학현미경의 분해능 한계로 빛의 파장보다 짧은 크기의 물체를 상세히 관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가시광선의 파장 범위는 0.4mm부터 0.5mm까지다. 이보다 더 작은 크기는 빛의 파동성으로 인한 효과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3.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계측상의 오차라고 볼 수 있는데, PIV로 유동을 계측할 시에 water tunnel 내 유동안의 미세한 부유물들에 의해 오차가 생긴 것으로 예상하여 볼 수 있겠다.
둘째로 난류강도 식상의 오차로 볼 수 있겠다. 실제 난류강도를 정확히 구하기 위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