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본이론
1. 분해능
2. 이미징 렌즈
3. 회절과 수차
4. MTF
5. LSF(line-spread function)
실험 방법
실험 결과
6. ESF(edge spread function)
7. 근축 근사
8. F number
1. 분해능
2. 이미징 렌즈
3. 회절과 수차
4. MTF
5. LSF(line-spread function)
실험 방법
실험 결과
6. ESF(edge spread function)
7. 근축 근사
8. F number
본문내용
실험 목적
ImageJ 프로그램을 통해 Modulation Transfer Function을 측정하고 스파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실험 결과와 비교해본다.
기본이론
1. 분해능
두 물체가 떨어져 있을 때 서로를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그림 1 – 렌즈에 입사되는 빛 모식도}
위에 그림과 같이 빛이 렌즈에 입사할 때 두 물체를 구분할 수 있는 최소의 거리 d는 다음과 같다.
d= λ/2nsinθ
{식 1 – 물체를 구별할 수 있는 최소의 거리}
식에서 n은 굴절률, θ는 입사각, λ는 빛의 파장을 의미한다.
2. 이미징 렌즈
물체와 똑같은 상을 맺히게 해주는 렌즈를 말한다.
3. 회절과 수차
파동이 좁은 틈을 통과할 때 그 뒤편까지 전파되는 현상을 회절이라고 하고 한 점에서 나온 빛이 광학계를 통과한 다음 다시 한 점에 모이지 않고 일그러지는 현상을 수차라고 한다. 회절과 수차는 렌즈에 정확한 상이 맺히는 것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ImageJ 프로그램을 통해 Modulation Transfer Function을 측정하고 스파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실험 결과와 비교해본다.
기본이론
1. 분해능
두 물체가 떨어져 있을 때 서로를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그림 1 – 렌즈에 입사되는 빛 모식도}
위에 그림과 같이 빛이 렌즈에 입사할 때 두 물체를 구분할 수 있는 최소의 거리 d는 다음과 같다.
d= λ/2nsinθ
{식 1 – 물체를 구별할 수 있는 최소의 거리}
식에서 n은 굴절률, θ는 입사각, λ는 빛의 파장을 의미한다.
2. 이미징 렌즈
물체와 똑같은 상을 맺히게 해주는 렌즈를 말한다.
3. 회절과 수차
파동이 좁은 틈을 통과할 때 그 뒤편까지 전파되는 현상을 회절이라고 하고 한 점에서 나온 빛이 광학계를 통과한 다음 다시 한 점에 모이지 않고 일그러지는 현상을 수차라고 한다. 회절과 수차는 렌즈에 정확한 상이 맺히는 것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