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뜨거운 플룸(hot plume), 후자를 차가운 플룸(cold plume)이라고 구분한다. 남태평양과 아프리카에 있는 유난히 큰 플룸을 슈퍼 플룸(super plume)이라 하고 이들의 상승과 하강은 플룸구조론의 주체가 된다.
판의 발산 경계부에서 판의 섭입이 시작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4.0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I. 플룸 구조론이란? --------------------------------------- 3
II. 플룸 구조론 탄생 원동력? ------------------------------ 3
III. 플룸의 생성 과정 ------------------------------------- 3
① 차가운 플룸의 생성 과정
② 뜨거운 플룸의 생성 과정
③ 슈퍼 플룸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1.08.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플룸(Plume)이란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연기의 모양을 말한다. 단속적으로 배출되는 연기모양을 퍼프라고 한다. 해양에서는 한 수괴가 물리적 특성이 다른 수괴 속으로 길게 흘러드는 현상을 말한다. 육지로부터 다양한 물이 유입되는 연안에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3.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이 지배되는 것이 바로 플룸구조론이라는 것이다. 20후반 지진 토모그래피의 발달로 확인된 슈퍼플룸이 판구조론이 설명하지 못하는 열점 화산활동 등을 대해 설명함으로써 판구조론의 미약한 점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이라는 것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5.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상화한 것으로 토모그래피를 통해 섭입한 해양판은 어느 깊이까지 하강할 것인지, 중앙해령이나 열점의 상승류는 어느 깊이에서 시작되는지 알 수 있다. 플룸구조론은 토모그래피 자료와 판구조 운동의 과정을 통합하여 탄생한 것이다. 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6.03.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