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겸재정선을 꼽을수 있는데 나는 정선에 대하여 조사해 본다.
안견은 북종화를 수용하여 높은 경지의 산수화를 이상적 산수화를 개척하였고 정선은 남종화를 받아들여 독보적인 진경산수화를 창출했다. 이들은 조선시대 산수화의 두가지 대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겸재 정선
Ⅲ. 조선시대화가 표암 강세황
Ⅳ. 조선시대화가 단원 김홍도
1. 벼타작
2. 대장간
3. 자리짜기
4. 서당
5. 길쌈
6. 씨름
Ⅴ. 조선시대화가 혜원 신윤복
Ⅵ. 조선시대화가 추사 김정희
Ⅶ. 조선시대화가 오원 장승업
참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9.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좋은 시간이 되었고 화인열전 1권에 소개되었던 김명국, 윤두서, 조영석, 정선에 대해서는 어느 누가 물어보았을 때 내가 가지고 있는 지식과 생각을 자신감을 가지고 전할 수 있을 만큼이 된 것 같아 마음이 벅차고 뿌듯하기만 하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선 1676-1759)]
6. 씨름도[긴장 속의 한마당 -(김홍도1745-1806)]
7. 달마도[거침이 없는 그림 -(김명국1600-1662이후)]
8. 세한도[외롭고 추운 그림 -(김정희 1786-1856)]
9. 조선민화[십장생도(十長生圖)/작가미상]
Ⅵ. 동양화의 의문점
1. 이치에 맞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겸재 정선의 그림 (골굴석굴도) 에는 마애불상과 12처 석굴이 모두 목조와가로 그려져 있으나 현재 전실은 모두 소실되고 바위굴만 남아 있다. 절벽 꼭대기에 새겨진 높이 4m, 폭 2.2m 정도의 마애불상은 보물 제 581호로 지정돼 있다. 모래기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