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쟁의 전개과정
북한군의 남침 작전계획
인민군 1구단은 의정부 및 개성 방면을 돌파, 서울을 직접 공격하는 모루 역할을 맡았다. 그리고 국군이 후방에서 증원되면 춘천 방면을 돌파한 2군단이 수원 방면으로 진격하여 국군의 후방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3.12.29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연전을 전개하면서 전선을 조정하여 미군이 서부지역, 한국군은 중동부 산악지대 및 동해안 담당
<미 군>
가. 서부지역 : 7월 18일 포항에 상륙한 미 제1기병사단이 영동일대
나. 7월 10일 ~ 15일간 부산에 상륙한 미 제25사단은 7월 20일 상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20.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있다. 서 론
본 론
1. 북한군의 상황과 작전개념
2. 한국군의 상황과 작전개념
3. 한강선 방어작전
4. 한미연합에 의한 ‘평택-안성-충주-울진’을 잇는 저지선에서의 지연전
5. 금강 및 소백산맥 저지선에서의 지연전
결 론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국제연합군(유엔군, 유엔에프)의 인천상륙작전
Ⅱ. 한미연합군의 독수리작전
Ⅲ. 한미연합군의 북한붕괴 작전계획5030(작계5030)
1. 한-미 연합군의 작전계획의 역사: 수복에서 점령으로, 방어에서 선제공격으로
2. 북한의 정권교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미군의 주둔 목적 명시.
■ 주한미군
1. 주한미군의 구조
- 주한미군사령부 // 미8군사령부 // 유엔군사령부 // 한미연합군사령부
2. 주한미군의 병력
3. 한미연합군사령부(한미연합사)
- 지상구성군 // 공군구성군 // 해군구성군
- ‘한미군사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