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는 있지만 일본처럼 피해가 큰 강도의 지진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은 유라시아판과 태평양판의 충돌로 인해서 강도가 큰 지진 이 자주 일어나지만 한반도는 유라시아판과 태평양판의 경계에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3.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및 출처>
1. 건축가와 지진 : A.I.A편저
2. 우리가 알아야 할 지진-한반도는 안전한가 : 변진섭 지음
3. 한반도와 그 주변의 Neo - Tectonic 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처>, 김소구 저
4. 기상청
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6. 서울대학교 지진공학연구센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에 대비책도 마련해야 하며 원전의 전주기 과정에서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조용식. 쓰나미와 방재대책 한반도 지진 등 복합재난 긴급점검 세미나. 소방방재청.pp25~44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7.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진 위험이 높은 지역에 자리 잡고 있다.
2) 원자력발전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 정도로 위험하다.
3) 인간의 실수에 의한 사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한다.
4) 자연재해로 인한 사고 위험이 높아진 우리나라의 원자력에너지는 더 이상 저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7.03.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진의 발생빈도 증가
○ 대형 토목 구조물의 내진 설계 적용
○ 경보체계 및 방재 대책의 확립
참고문헌
강덕상, 학살의 기억, 관동대지진, 역사비평사, 2005
김소구, 일반지진학, 한국학술정보(주), 2003
김소구, 한반도와 그 주변의 Neo - Tectonic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