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한의 통일·대남정책과 남북관계 변화, 동국대 대학원, 2011.
김명호 외(1996) : 북한 사회의 이해, 서울 : 집문당
정학규, 남북한 통일 후 사회통합을 위한 NGO의 역할, 한양대 행정·자치대학원, 2007.
박홍기 외(2004) : 한반도통일의 전망, 성남 :
|
|
![]() |
통일 』 나남 1993
21세기위원회 『2020년 한국과 세계』동아일보사 1998
대학통일문제연구소협의회편 『한반도 통일과 그 환경』형설출판사 1997 Ⅰ.들어가면서
Ⅱ.전후 미국의 역할
Ⅲ.통일문제와 미국의 입장
Ⅳ.결 론
참고자료
미국, 미국의 입장에서..,
|
|
![]() |
이해를 높이고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참여를 유도했습니다. 하지만 ‘동독의 사회주의가 잘못된 것’이라는 내용은 포함시키지 않았습니다. 만약 통일이 이뤄진 후 북한의 문화와 정책 중에 바람직한 것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마음가짐
|
|
![]() |
통일과정의 정당성과 남북한의 체제개혁」한국정치학회, 통일한국의 새로운 이념과 질서의 모색, Vol. 3 No. 0
김준희(1982)「분단 국가 이론에서 본 한반도의 장래」원미사
김형기(2013)「남북관계와 대북정책의 변화:대결과 협력은 선택인가?
|
|
![]() |
통일 20년의 경제적 평가와 한반도 통일」e-경영연구, Vol.7 No.2
(3) 국제적 이해와 지지
- 북한 및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를 통일에 유리하도록 변화하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한반도 통일은 국제적 성격을 고려하여 주변국에 대한 통일외교를
|
|
가격 :
할인가 : 15,400원(15페이지)
|
가격 :
할인가 : 23,000원(36페이지)
|
가격 :
할인가 : 36,000원(36페이지)
|
가격 :
할인가 : 6,500원(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