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사+간\" 구에 관하여, 중어중문학 제20집, 한국중어중문학회
박종한(1994), 현대 중국어 동사 유의어의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박종한(1991), 동사 진행의 문법적 특성과 기능, 중국문학 제18집
이임정(1996), 현대한어동사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8.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①那些人是不是 的朋友?
②這是不是剛出版的漢語詞典?
9)방향동사(方向動詞)
방향동사는 동작이나 상태의 방향을 나타내는 동사이다.
來, 去
上, 下, 進, 出, 過, 回, 開, 起
上來, 上去, 下來, 下去, 進來, 進去
出來, 出去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一. 형용사(形容詞)와 동사(動詞)에서 전성(轉成)된 명사(名詞) 3ㆍ1-3ㆍ2 현대 한어에서 어떤 한 사가 명사, 형용사, 동사 중 어떤 것으로 쓰이고 있는지는 그 사의 뜻(=의미)을 보면 쉽게 판명되지만 문언에서는 형용사나 동사인 것이 명사가
|
- 페이지 35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6.04.0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단동사는 일반 동사처럼 중첩하여 사용할 수 없다.
⑵판단동사는 了, 着, 를 첨가 할 수 없다.
⑶판단동사는 긍정형과 부정형을 병렬시켜 의문문을 만들 수 있다.
①那些人是不是的朋友?
②是不是出版的典?
9)방향동사(方向動詞)
방향동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1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어동사의 수동에 이Td서 일본어는 한어의 의미에 관계없이 「サレル形」으로 나타나지만, 한국어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 되다」이외도 「-받다」「당하다」와 같이 다양한 형식이 수동문에 참여하고 있다.
이들의 의미적 특징은 「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