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깨의 움직임과 멈춤이 상체(윗놀음)의 주된 기조가 되고 있다. 즉 쉽게 비교하자면 강선영류는 화려한 분위기이고 한영숙류는
단아한 느낌이 든다고 할 수 있습니다. I. 태평무의 유래
II. 한영숙류와 강선영류의 태평무 비교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 엎고 제치는 사위가 있는데 이것이 음양을 표현한 것이다. 바른손을 엎으면 음, 왼손을 제치면 양, 발도 곡선으로 돌리면 음, 직전으로 나아가면 양을 표현 한다. 한편 일반적인 춤은 부드럽고 우아하게 추지만 태평무는 아주 근엄하게 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 음악 연주로 조선음악무용연구소의 방송출연에 참가했었지만 춤을 전공으로 했다.그의 첫 무용무대는 1937넌 10월 부민관에서 열린 산성준 무용발표회였다. 그는 승무, 학춤, 살풀이를 추어 갈채를 받았으며 그 후 일본과 만주 등 국내외의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는 것이다. 또한 한영숙은 맨손으로 춤을 추기에 손끝의 표정이 살아나는 것이 특징이라면 강선영은 한삼에 손이 감추어지므로 어깨의 움직임과 멈춤이 상체(윗놀음)의 주된 기조가 되고 있다. 1. 한영숙류 태평무
2. 강선영류 태평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가인전목단, 보상무, 만수무,
향령무, 장생보연지무, 학무
민속무용 - 승무, 살풀이, 한량무, 남무, 강강술래, 승전무, 농악, 진주검무
전통무용 - 살풀이(이매방류,한영숙류) ,태평무(강선영류,한영숙류) ,승무(이매방류,한영숙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