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키백과, 함수발생기(Function Gernerator)
http://ko.wikipedia.org/wiki/%EC%98%A4%EC%8B%A4%EB%A1%9C%EC%8A%A4%EC%BD%94%ED%94%84m, 위키백과, 오실로스코프(CSC) 1. 이론
2. 실험회로 구성 및 방법
3. 실험결과 및 분석
4. 참고문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목적
함수 발생기와 오실로스코프의 사용법과 pspice 프로그램을 익힌다.
배경이론
-함수발생기
함수 발생기는 회로, 부품, 장치 등의 특성을 검사하기 위한 신호원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다. 함수 발생기는 기본적으로 정현파(sine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2.04.2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계 제안서 -함수 발생기-
설계 목표
╋━━━━━━━━━━─────────
● 일반적인 설계로써 주어진 사양을 만족
● 사양을 만족하는 함수발생기를 제작하여 결과물 완성
● 결과물의 기능성과 완성도를 평가
● 결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12.2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요약—오실로스코프와 함수발생기와 프로브를 직접 사용해 봄으로써 기능과 사용법을 익히고 파형을 함수발생기를 통해 만들어보고 값을 변경해 보면서 오실로스코프로 파형을 측정하여 어떤 영향을 주는지 관측한다. 또한 Duty Ratio의 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9.11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호를 나타내도록 오실로스코프에 함수 발생기를 다시 연결하고 수직채널의AC-GND-DC 결합 스위치를 GND에 전환하라. 효과는 무엇인가?
일직선으로 나타난다.
왜? 이 오실로스코프 기능은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가?
0전위라서 기준점 맞추기 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프는 보통 400V 입력까지는 견디지만 더 높은 전압을 측정할 때는 10:1을 사용한다.
4. 실험준비물
(1) 함수발생기(HP 33120A) 1대
(2) 오실로스코프(HP 54600A) 1대
(3) 브레드보드(WISH 206) 1개
(4) 저항 : 10[㏀] 가변저항기 (ED RH-5A)
(5) 디케이드 커패시터(ED C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함수발생기의 출력에는 DC offset 전압을 줄 수 있게 되어 있다. 파형의 offset과DC 출력은 출력파형의 선택과 관계없이 임의로 설정시킬 수 있으며, 파형의 출력을 DC적으로 ‘+’ 혹은 ‘-’로 편위시킬 수 있다.
4. TTL 동기 출력 : Generator의 주파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0.10.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함수발생기에 입력하는 사진을 나타낸다.
값을 입력하면 오실로스코프 Vs,Vc의 파형이 사진3-2와 같이 나타난다.
사진3-3에서 주기t=40㎲임을 확인하고 3-4에서 같은 위상에서의 차이가 2.4㎲임을
확인하여 로 위상차는 21.6이다.
21.6의 위상차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3.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연산이 필요하지만, FFT를 이용하면 O(nlogn)의 연산만으로 가능하다. n이 합성수일 경우 그 소인수분해를 이용하여 연산 횟수를 줄일 수는 있지만, FFT를 사용하면 n이 소수일 경우에도 O(nlogn)번의 연산 횟수를 보장한다.
3.2 함수발생기(Function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함수발생기가 발생한 1kHz의 전압은 0.1 Time/Div 설정의 10칸으로 1ms의 주기임을 확인 할수 있었다. (1ms = 1/1000 (sec) = 1kHz)
-함수발생기가 발생한 1V의 전압은 0.5 Volt/Div 설정의 2칸으로 1Vpeak임을 확인할수 있었다.
-함수발생기가 발생한 100Hz의 전압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