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22건

) 부분분비땀샘(apocrine sweat glands)/항문주위샘 (circumanal gland) 사춘기 이후 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기능 시작 3) 근육층 (1) 돌림층의 민무늬근 : 속항문조임근(internal anal sphincter) : 속돌림층에 해당 (2) 뼈대근(골격근) : 바깥항문조임근(external anal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hn)은 존재하며 오히려 소장보다 그 길이가 더 길고 더 밀집되어 있다. 표면과 장샘의 상피는 소장과 거의 동일하지만, 소장에 비해 점액을 분비하는 술잔세포(goblet cell)가 더 많이 출현하고 파네트세포(Paneth cell)는 관찰되지 않는다.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9.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세포는 성숙부위로 이동하며, 이곳에서 구조가 완성되고 효소가 성숙되어 각 부위의 기능을 수행하는 세포집단으로 분화한다. 소장에서는 융모의 끝부분에서 세포가 아포토시스에 의해 죽는다. <fig9. 장샘의 표본으로 흡수세포와 술잔세포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6.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항문관의 근육층 중 내돌림층은 두꺼워져 항문조임근(anal sphincter)을 형성한다. 항문관의 상피는 각질화되어 있지 않고 항문으로 이행되는 부위에서 각질화되며 상피 기저부에는 멜라닌이 많이 나타난다. 이 경계부분은 항문피부선(anocutaneal l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항문관의 근육층 중 내돌림층은 두꺼워져 항문조임근(anal sphincter)을 형성한다. 항문관의 상피는 각질화되어 있지 않고 항문으로 이행되는 부위에서 각질화되며 상피 기저부에는 멜라닌이 많이 나타난다. 이 경계부분은 항문피부선(anocutaneal l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1.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