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강보다는 SM45C가 더 인장강도가 크며, 연신율, 단면 수율은 연강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연강은 SM45C보다 더 많이 늘어나지만 강도에서는 SM45C가 더 높다는 걸 알았다. 또 항복점 이하에서 아무리 힘을 가했다 풀었다 해도 여전히 같은 강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항복점 연신의 종료점이다.
철강의 그림을 보면 항복점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유는 연강이 아니라는 것이고 또, 항복점 현상은 소량
의 침입형 또는 치환형 불순물 원자와 관련이 있는데 C,N과 같은 불순물 원자가 없기 때문에 항복점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항복점 결정방법 (오프셋 방법)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에 원형으로 되돌아가는 부재를 요구할 때에는 비례한도나 탄성한계를 모색하면 되지만 이들을 구하는 문제가 그리 쉬운 것은 아니다. 따라서 연강에서는 항복점을 대용으로 쓰는 것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31.9876/0.0016 = 207491㎫ = 207.4㎬
연강 탄성계수
= 201.4582/0.0011 = 183143㎫ = 183.1㎬
5) 얻어진 응력-변형률 선도로부터 0.2% offset stress를 구하기.
,
○ 연강
⇒
○ SM45C
⇒
6) 실험결과
○ 실험 결과
시편
항복점
인장강도
파단응력
표점
길이
(mm)
파단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항복점이라고 한다.
2) 내력 (Yield Strength)
: 인장 시험때 규정된 영구변형을 일으킬 때에만 하중을 평행부의 원단면 적으로 나눈 값을 항복 값이라 하나 연강처럼 항복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 이외의 재료에는 항복값 대신 0.2%의 영구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3.18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