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진(1992.12.10)과 알제리의 마스카라지진(1994.8.18) 등 규모 6 이하의 비교적 작은 지진만 발생하고 있다. 이 밖에도 아프리카 동부지역을 가르는 거대한 단층지역을 따라 지진이 발생하고 있으며, 대서양의 해양저산맥을 따라서 해저지진이 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진과 재해, 기전연구사
· 배온희(2000), 지진을 대비하라, 테힐림리더십연구
· 오임상·안희수·추교승·고창남(1993), 한국 근해의 해저지진과 지진해일
· 자연재해의 이해, 구미서관
· 지진재해대책매뉴얼(1999), 현대구조연구소, 공간출판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지진해일의 정의
해저지진이나 해저화산분화, 산사태, 해저핵실험 등 기상 이외의 요인에 의해 해저가 융기하거나 침강하여 해수면이 변화하면서 발생한 파를 지진해일 이라 한다.
어원으로부터 본 지진해일(津波)의 의미는 항만, 포구(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8.03.07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진이 발생하면 지진동은 길어야 1분 이내이며 강한 지진동도 지속시간이 15초를 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멀리 대피한다는 마음보다는 신속하게 주변에서 안전한 장소를 찾아 대피해야 한다.
참고문헌
한국, 지진해일 재해저감을 위한 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8.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진해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폭풍해일은 태풍에 의한 해수면 높이가 변화하여 해파 형성을 유발하는데서 시작된다. 해파가 육지에 도달할 경우 해일이 발생한다. 반면, 해저지진 및 해저에서 화산이 폭발할 경우 해파가 형성되는데 이렇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22.0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