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활성단층의 위험성 기획기사
하효명(1999), 지구과학Ⅱ(High Top), 두산동아
한국 지구과학회(1998), 지구과학 개론, 교학 연구사 Ⅰ. 개요
Ⅱ. 지질학적 시간의 측정
1. 지질시대의 측정
2. 지질학적인 시계
3. 시간 측정의 근거와 그 방법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활성단층대 인근 원전 14기 대책 마련해야 : 한반도 지진, 안전지대에 벗어 날 수는 없다, 시사타임, 2016.05.01일자.
김경민, 한반도는 지진 안전지대? 언제나 대비 철저히 해야 : 기상청 지진통계 최대 규모는 5.3… "강진 발생 가능성 적지만 지진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6.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진의 규모 및 단계적 징후 이에 대한 대책 및 조사방법
지진의 규모 및 단계적 징후, 이에 따른 대책 및 조사법에 대하여 논하라
A. 판구조론의 이해 및 활성단층
B. 지진의 진도, 규모, 단계적 징후, 예측방법
C. 내진대책, 액상화 특성 및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9.10.25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활성단층이 있어 더욱 위험하다. 1999년에 일어난 921지진은 체롱푸 단층이 활성화된 결과 강도 7.3의 대재앙을 초래했는데, 이 체롱푸 단층의 남쪽 부분이 후샨댐 예정지로부터 5~6km 이내에 있다. 더구나 이 단층보다 더 활발한 펜슈후 단층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활성단층의 인식
- 일반적으로 홀로世(Holocene; 11,000년 이후) 의 단층은 활성단층으로 구분한다.
- 과거 3백만년 동안 이동된 기록이 없는 단층 → 비활동성 단층
- 과거 300만년 동안의 움직인 기록이 있는 단층 → 활성단층
- 중요 시설물의 설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