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내에서 제사를 지내거나 세배할때 착용한다. 두루마기의 종류로는 박이 두루마기(여름용)와과 홑단 두루마기(춘추용)가 있다.
< 두루마기 > < 활옷 >
< 노리개 > ★ 한국 ★
<여성 전통복식>
<남자 전통복식>
<어린이옷>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활옷
11. 적삼
12. 당의
13. 배자저고리
14. 속곳
15. 원삼
16. 적의
17. 전복
18. 복건
19. 관복
20. 치네
21. 단령
22. 도포
23. 버선
Ⅴ. 한복의 옷감과 배색
Ⅵ. 한복의 바른 옷차림
Ⅶ. 한복의 착용법
1. 속옷
1) 전통적인 착용법
2) 근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활옷
11. 적삼
12. 당의
13. 배자저고리
14. 속곳
15. 원삼
16. 적의
17. 전복
18. 복건
19. 관복
20. 치네
21. 단령
22. 도포
23. 버선
Ⅲ. 한복의 입는 과정
1. 남자 한복 입기
2. 여자 한복 입기
Ⅳ. 한복의 바람직한 옷차림
1. 장신구와 속옷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적삼을 즐겨 입었고, 반저모시 로는 흰 치마저고리를 즐겨 입었다.
겨울 옷
겨울에는 양단과 공단, 실크 등으로 치마저고리를 지어 입고, 겉옷으로 두루마기를 지어 입으면 좋다. 겨울 한복은 물겹바느질을 하는 천으로 지어 입는 것이 제격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적삼·깨끼저고리, 겨울은 누비저고리·솜저고리 등을 입는 것이 좋으며 속옷을 잘 갖춰 입어 폭이 넓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겉옷으로는 마고자 · 두루마기가 있는데, 방문시에는 현관에서 벗고 들어가는 것이 예의이다. 신랑은 바지 저고리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