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月印千江之曲)월인천강지곡
-달이 천개의 강을 비춘다는 의미로서 달은 부처, 강은 민중을 의미
月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8.03.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을 훔쳐 정사 곁으로 지나가니 그 도적이 보살의 전세상 원수이더라. (전세생은 아래 세상의 생이다.)
이빚날에 나라에서 도적의 자취를 밟아가서 그 보살을 잡아 나무에 몸을 꿰어서 두었더니(보살이 전생에 지은 죄로 이렇게 수고 사시니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월인천강지곡』의 예이다.
ㄱ. 곶(花2), 깊고, 높고(34), 좇거늘, 좇잡거늘(36), 빛나시니이다(80)
ㄴ. 곶(7,42,81), 낱(40,91,92), 붚(40), 낯(49), Ⅰ. 국어 종성 표기의 변천사 정리 (중세-근대-현대)
1. 중세국어의 종성표기
2. 근대국어의 종성표기
3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6.09.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 창제 당초의 원리였으나, 종성으로 쓰는 것이 더 일반적 이었다.
2.3. 사이시옷
사이시옷은 후기 중세국어부터 현대국어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형태이다. 현대국어에서는 두개의 단어가 결합하여 복합어가 될 때 음운 환경에 따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에 대한 고찰을 마지도록 하겠다.
<참고 문헌>
권성기, 『 한성어문학』,「훈민정음(訓民正音) 자형기원에 관한 일고찰 - 초성 5자를 중심으로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1982, p. 236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