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 국어학논문집, 1990.
이기문, 「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문제」, 국어학2. 1975.
이익섭, 『국어학개설』, 학연사, 1997. Ⅰ. 머리말
Ⅱ.한글의 제자 원리
Ⅱ.1.자음자(초성)의 제자원리
Ⅱ.2. 모음자(중성)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8.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회갑기념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이환묵, 『훈민정음 제자원리』신상순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훈민정음 해례본
♥tigonmun@hanmail.net
h15usu@netian.com Ⅰ. 서론
Ⅱ. 본론
1. 자음의 제자 원리
2. 모음의 제자 원리
Ⅲ. 결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원설
6. 역리 기원설
7. 창문 상형 기원설
8. 기일성문도 기원설
(2) 기원설에 대한 재고
Ⅲ.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Ⅳ. 훈민정음의 초중종성체계
(1) 초성체계
(2) 중성체계
(3) 종성체계
Ⅴ. 맺음말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5, p. 95
이병근, 『훈민정음의 이해』「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 한신문화사, 1993. p. 68
이환묵, 「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 한국언어학회(언어), 1987, p. 351
조영진, 『국어국문학』, 「훈민정음(訓民正音)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리로서 天地人과 발음기관을 象形하였다는 것이 본고의 논리이다.
‘훈민정음’은 ‘종성’을 ‘초성’의 글자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초성과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의 제자원리와 중성에 해당하는 모음의 제자원리로 나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