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휘모리잡가
Ⅳ. 맺음말
Ⅰ. 대중가요의 선구, 20세기 초반 잡가 연구
1. 19세기 후반 시가사의 구도
20세기 초 근대 벽두 가장 많은 대중을 확보하면서 부상한 장르가 잡가인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따라서 잡가는 여타의 다른 가
|
- 페이지 3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 | | | | | | | | | |
| 덩 | ∼ | | | | | | | | | | |
삼도 설장구 가락보 합주용 編著; 96 首杖鼓 趙基弼 1. 다스림(다스름)
2. 굿거리(풍년질굿, 풍류굿, 늦은삼채)
3. 덩덕궁이(삼채, 자진모리)
4. 동살풀이(오방진)
5. 휘모리(이채, 두마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휘모리장단, 누가 똥을 쌌어, 광명숲유치원, 이야기숲, 광명숲학교, 사회적협동조합
,숲학교이야기숲,2021
2. 최은영, 「유아국악 장단놀이 지도법 연구: 장구장단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3. 최윤정, 「유아기 장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3.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장단과 판소리
1. 진양조(진양)
2. 중모리
3. 중중모리
4. 자진모리
5. 휘모리
6. 엇모리
7. 엇중모리
Ⅵ. 장단과 장구
1. 자세
2. 연주법
1) 떵(?)
2) 떡(?)
3) 쿵(○)
4) 더러러러(?)
5) 기덕(i)
6) 더(?)
2. 장단 지도
Ⅶ. 결론
참고문헌
민족의 미 춤, 음악 궁편, 지도, 장단과 판소리(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엇모리, 엇중모리), 장단과 장구 분석,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한다.
▶ 휘모리장단을 구음과 손 장단으로 익히기
* 휘모리장단을 구음으로 한 다.
* 휘모리장단을 책상에 장단 을 맞추며 연습한다.
*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 의 특징에 대해 대답한다.
▶ 제재곡 노래 부르기
* 동부 민요의 특징을 생각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6.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