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까지만 계산을 해서 결국 나온 값이지만 실제 시뮬레이션을 통해 나온 값은 그런 값들까지 다 계산해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오차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큰 오차가 없는 걸로 확인되므로 실험은 성공적이였다고 할 수 있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6. 저항부하의 토글스위치가 모두 O(OPEN)에 위치하였는가 확인한다.
가. 단상 브리지 정류기
■ 7. 저항부하를 이용해서 그림 2-4의 회로를 구성하고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Power Supply
전압표시 선택단자 4-N
Oscilloscope
채널-1 감도 2 V/DIV.(GND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6.0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류기의 역률 PF(power factor) : 점호각에 따라 변함,
점호각이 클수록 낮아진다.
① 저항 부하 (단상전파)
- 역률 PF(power factor) = ←
: 교류 전압, 전류의 실효값
실효값
- 단상전파 위상제어 정류기 역률 PF(power factor)
PF =
순수 저항부하라도 역률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류기로 동작하고, 또 인버터로 동작하는 점호각의 범위는? 설명하시오.
■ 17. 그림 8-13에서 점호각대 출력전압 을 그리시오. 같은 그림에 이론적 관계인 를 그리시오. 여기서, 는 공급전압이다. 두 파형을 비교하시오.
그림 8-16 단상브리지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6.0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류기의 전압과 전류파형
다. 환류(環流) 다이오드를 갖는 정류기
■ 16. 그림 1-9에 보여진 바와 같이 회로에 환류다이오드를 구성한다. Power Supply는 주전원스위치를 I(ON)에 넣고 전압조절단자는 90%에 둔다.
그림 1-9 환류다이오드를 갖는 정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6.0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