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에서, 1919년 12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지시로 조직명을 ‘북로군정서’로 개칭하고 군대조직으로 편성하였다. 서일을 총재로 하여, 총사령관에 김좌진, 참모장에 이장녕, 사단장에 김규식, 여단장에 최해, 연대장 정훈, 연성대장 이범석, 길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를 조직하여 총사령관에 취임하고, 사관연성소(士官鍊成所)를 설치하였다. 이듬해 북로군정서의 군대를 동원하여 청산리(靑山里) 전투를 총지휘하며 일본군 제19·21사단을 상대로 격전을 벌여, 무장독립운동사상 최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결이 옳은 것은?
갑. 북로군정서―대한독립군 을. 서로군정서―한국광복군
병. 북로군정서―조선의용대 정. 정의부―신민부
23. 고종의 교육입국조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갑. 갑신정변 을. 대한제국성립 병. 갑오개혁 정. 개국기원
24.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2.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로군정서를 비롯하여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안무의 대한국민회 국민군, 최명록(최진동)의 군무도독부 등이 각기 수백 내지 수천명의 독립군을 편성하여 일면 무장, 일면 훈련, 일면 항전을 개시하였다. 또한 서간도 지방에서는 한족회에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로군정서의 서일총재는「대한군정서보고」에서 우선 정신적측면에서 독립군이 조국을 위하여 굶주림을 견딜 뿐 아니라 생명을 돌아보지 않는 항전 의지를 가진 데 비해 일본군은 살아서 돌아가려는 의식이 충만하였고, 둘째 전술적 측면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3.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