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운 앞쪽에서 묶는다. *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1. 소독 간호사, 순환간호사의 정의
2. 수술 전 역할
3. 수술 중 역할
4. 봉합 시 역할
5. 수술 후 역할
6. 참고
♣ 외과적 손씻기(surgical hand scrub)
♣ 폐쇄식 멸균장갑 끼기와 멸균가운 입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쉬웠다. 소독간호사(scrub nurse)와 순환간호사(circulating nurse)는 전반적인 역할은 수술실에 무균술 원칙이 지켜지도록 감독, 관리하며 수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기구, 물품을 공급하는 것이니 만큼 수술의 성공여부와 환자의 상태에 직결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의 역할)
1) 소독간호사 (scrub nurse)
(1) 소독간호사의 정의
(2) 소독간호사의 역할
2) 순환간호사 (circulating nurse)
(1) 순환간호사의 정의
(2) 순환간호사의 역할
Ⅲ. 결론
(보고서를 마친 후 알게 된 점 및 느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③ 의사가 손을 장갑 안으로 찔러넣을 때 위쪽으로 힘을 쓴다.
④ 소매 위에 뒤집힌 장갑 손목부위를 펼친다.
⑤ 왼쪽손을 위해 반복한다.
⑥ 만약 멸균조끼가 필요하다면 외과의를 위해 안으로 손을 넣도록 하여 그것을 잡는다. 목 부위에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9.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독된 사람은 소독영역과의 접촉을 최소한으로 한다.
10. 습기(moisture)는 오염원으로 간주한다.
11. sterile field에서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으나 최대로 감소시키는 노력을 해야한다. 즉, 수술실 간호사, 의사, 환자의 피부가 오염원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