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Ⅱ. 불교용어와 열반
Ⅲ. 불교용어와 여래십호
Ⅳ. 불교용어와 종송(쇳송)
Ⅴ. 불교용어와 석등
Ⅵ. 불교용어와 도솔천
Ⅶ. 불교용어와 각단예불
1. 극락전(혹은 彌陀殿)
2. 팔상전
3. 약사전
4. 용화전(혹은 彌勒殿)
참고문헌
불교용어 보시, 불교 열반, [불교용어, 보시, 열반, 여래십호, 종송, 석등, 도솔천, 간단예불]불교용어와 보시, 불교용어와 열반, 불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여래십호) 중 하나, 복덕(福德)을 갖춘 자, 즉 높은 스승을 말한다.
▶정반왕(淨飯王) : 석가의 실부(實父)이며 아버지는 사자협왕(師子頰王)이다. 정반은 산스크리트 슈도다나(uddhodna)의 음사(音寫)이며, 수두단(輸頭檀)·수도타나(首圖馱那)·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4,500원
- 등록일 2012.01.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여래)/원차가지 운운/시귀식진언/보공양진언/보회향진언/수아차법식 운운/여래십호 운운/원아진생 운운/ 장엄염불 17.공덕게(功德偈)
(2) 작법무 유형
작법무 진행 곡목이 없다.
관음시식에서는 작법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11) 봉송 및 소대의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