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장
외부 사물로 본 가을의 모습.
후정
13행-14행
다섯 번째 문장
학문적 성취를 이루지 못한 아쉬움 토로.
15행-16행
여섯 번째 문장
시름을 달래기 위한 거문고를 탐.
이처럼 이황의 <만보>는 늦가을 해질녘을 배경으로 하루 또는 한 해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2.09.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황
그는 누구인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퇴도(退陶), 도수(陶叟)
이동설(理動說)·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 등 주리론적 사상을 형성하여 주자성리학을 심화·발전시켰으며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5.12.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