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음압이 증가함에 따라서 왜곡이 증가하는 선형증폭기의 특성을 확인하였고, 2) 선형 보청기에서 기준시험이득에 음량 조절기를 위치하는 까닭과 기준시험이득은 고주파수평균최대출력에서 77 dB를 뺀 값 이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³선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왜곡이라고 합니다. 즉, 입력 신호에 없는 음이 출력되는 것을 말합니다.
식으로 나타내면 출력에 있어서의 기본파의 진폭을 I1, 고조파의 진폭을 각각 I2, I3,…이라고 하면 THD 고조파 왜곡률(Total Harmonic Distortion : THD)
(%)는 아래 식과 같습니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8.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 JPEG
5. H.261
6. H.263
Ⅲ. 오디오 신호
1. 효과와 보조 시스템
2. 오디오 이퀄라이즈와 필터링
3. 디지털 오디오에서의 신호 처리
4. 오디오 신호 왜곡
5. 음성신호의 데이터 압축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9.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Total Harmonic Distortion
고조파 왜형율
THR
Thermal relay
열동계전기
T/L
Transmission Line
송전선로
TLR
Time-lag relay
한시계전기
TOE
TON of oil Equivalence
석유환산톤
TR
Temperature relay
온도계전기
TRV
Transient Recovery Voltage
과도 회복전압
TS
Tumbler Switch
텀블러 스위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distortion이 어떻게 달라지는가? 그 이유는 무엇일까?
※ R3 를 OP Amp 출력단자에 연결했을때
Vs값의 변화에 따른 출력전압그래프, 출력파형의 왜곡
→ 입력값에 대한 출력전압 변화그래프에서 볼수 있듯이 입력전압이 -0.4~0.4V부근에서 출력전압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