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품 연구
1. 서동요(薯童謠)
원문(原文)
善花公主主隱
他密只嫁良置古
薯童房乙
夜矣卵乙抱遣去如
[語句풀이]
善化公主主隱(선화공주니믄) : 선화공주님은
他密只(타밀치) : 남모르게.
그스지 > 그지(울림소리되기) > 그기(강화현상)
|
- 페이지 13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
3.향가의 형식
4. 향가 작품의 주제별 분류
* 남한
* 북한
5. 작품분석
1) 서동요
2) 풍요
3) 헌화가
4) 도솔가
5) 제망매가
6) 처용가
7) 그 외의 작품들
6. 향가의 쇠퇴
*남한
*북한
7.향가 창작의 의의
* 남한
* 북한
Ⅶ. 결론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작품을 민요로 보게 만드는 이유이다.
참고문헌
금렬규 / 향가의 문학적연구, 서강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972
김종우 / 향가 문학론, 연학문화사, 1971
김승찬 / 서동요 연구, 국어국문학35, 문창어문학회, 1998
윤영옥 / 신라시가의 연구, 형설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동요, 한국민속학연구론집 제 40권
최철(1990), 향가의 문학적이해, 연세대 출판부
황패강(2001), 향가문학의 이론과 해석, 서울 일지사
홍기문, 향가해석, 여강출판사 Ⅰ. 서동요(신라 향가)의 작품해제
1. 연대
2. 종류
3. 성격
4. 주제
5.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작품을 감상할 때의 주요한 의미라 할 수 있겠다.
◎ 참고문헌
정운채,「「서동요」의 형성과 그 예언적인 힘의 유래」, 『인문과학논총』28호, 1996,
장성진,「薯童謠의 형성 과정」,『韓國傳統文化硏究』제 2집(효성여대 한국전통문화연구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